교육목표
- 지식·정보의 수집, 분석, 가공, 저장, 검색 및 활용 등 지식생태계에서 이루어지는 지식순환의 전 과정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첨단 SW를 창의적으로 설계 제작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 양성
인재상
- 발전·진화된 지식생태계 순환기재와 구조를 습득하여 건전한 지식생태계를 조성하고 사회적 편익 증대를 창출하는 전문 인재 새로운 지식의 확산과 일반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지식·정보처리 과정의 효율화를 위해 ICT와의 접목 및 협업이 가능한 실무형 인재
교육과정소개
- 문헌정보학과 및 컴퓨터공학과 간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기존 전공과목과 신규 개발한 융합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, 지식생태전공 특화과목으로 정보아키텍처, LOD구축1, LOD구축2 등이 있음
- 기초과정: JAVA프로그래밍기초, 정보학개론, 정보아키텍처, 디지털정보자원활용, 디지털도서관, 인터페이스설계, 정보검색론, 데이터분석및시각화
- 핵심과정: 데이터사이언스개론, 이용자연구론, 빅데이터프로그래밍기초, 자료구조와 알고리즘, 정보서비스론, 메타데이터, 데이터베이스, 운영체제, 기계학습과 딥러닝
- 심화과정: 데이터큐레이션, 데이터사이언스와 소셜데이터분석, 인공지능기초, 웹프로그래밍, 모바일프로그래밍, SW종합설계 프로젝트, 소프트웨어공학, 데이터베이스설계, 분석데이터탐색, LOD구축
교과목 로드맵
세부 교과목 로드맵
졸업요건
순번 |
과목명 |
학점 |
구분 |
수강시기 |
교육내용 |
1 |
정보학개론 |
3 |
전공기초 |
2-2 |
정보현장에서의 ICT 활용 기초 |
2 |
디지털정보자원활용 |
3 |
전공기초 |
2-2 |
정보환경의 이해와 가용자원의 활용 |
3 |
JAVA 프로그래밍기초 |
3 |
전공기초 |
2-1 |
JAVA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 학습 |
4 |
JAVA 프로그래밍기초 |
3 |
전공기초 |
2-2 |
JAVA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 학습 |
5 |
데이터사이언스개론 |
3 |
전공핵심 |
2-2 |
데이터 생태계 전반의 문제 해결 |
6 |
이용자연구론 |
3 |
전공핵심 |
2-2 |
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이용자에 대한 연구 |
7 |
빅데이터프로그래밍기초 |
3 |
전공핵심 |
2-2 |
다양한 유형의 빅데이터에 대해 컴퓨터 정보처리의 기본이 되는 프로그래밍의 기초 문법을 익히고 실습 |
8 |
자료구조와 알고리즘 |
3 |
전공핵심 |
3-1 |
기본적인 자료구조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 |
9 |
자료구조와 알고리즘 |
3 |
전공핵심 |
3-2 |
기본적인 자료구조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 |
10 |
기계학습과 딥러닝 |
3 |
전공핵심 |
3-2 |
빅데이터분석에 필요한 기계학습의 원리와 딥러닝 모델에 대해 학습함 |
11 |
운영체제 |
3 |
전공핵심 |
3-2 |
일반적 운영체제의 역할을 이해하고 Linux 운영체제 내부 구조와 각 기능을 실습 |
12 |
데이터베이스 |
3 |
전공핵심 |
3-2 |
DB에 대한 이해를 통해 DB 운용 및 응용프로그램 개발 능력 배양 |
13 |
정보아키텍처 |
3 |
전공기초 |
3-1 |
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설계 이론과 원리 |
14 |
디지털도서관 |
3 |
전공기초 |
3-1 |
디지털도서관의 제반 개념 이해 및 디지털도서관과 관련된 사회, 경제, 기술적 환경 |
15 |
정보서비스론 |
3 |
전공핵심 |
3-1 |
정보서비스의 의의, 발전과정, 요소, 유형, 정보탐색방법, 관련 네트워크의 이론, 응용 및 실제 사례 |
16 |
데이터사이언스와 소셜데이터분석 |
3 |
전공심화 |
3-1 |
데이터사이언스를 사회과학적 분석과 연계해서 인간, 데이터, 기술의 융합에 관한 기반지식을 습득 |
17 |
인공지능기초 |
3 |
전공심화 |
3-1 |
도서관 및 학술정보 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인공지능 개념 |
18 |
인터페이스 설계 |
3 |
전공기초 |
3-2 |
사용성 제고를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|
19 |
정보검색론 |
3 |
전공기초 |
3-2 |
정보검색에 대한 이해와 원리 |
20 |
데이터분석및시각화 |
3 |
전공기초 |
3-2 |
새로운 정보시스템을 기획하거나 기존의 정보시스템의 개선을 목적으로 분석 및 설계할 수 있는 기초 역량 |
21 |
메타데이터 |
3 |
전공핵심 |
3-1 |
메타데이터 전반에 대한 제이론, 각 주제영역에서 제안되고 있는 대표적인 메타데이터 |
22 |
데이터큐레이션 |
3 |
전공심화 |
3-2 |
데이터의 생산부터 재사용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의 생애주기 동안의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 |
23 |
SW 종합설계 프로젝트 |
3 |
전공심화 |
4-1 |
소프트웨어공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 |
24 |
웹프로그래밍 |
3 |
전공핵심 |
4-1 |
리눅스를 활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주요 기능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 |
25 |
모바일프로그래밍 |
3 |
전공심화 |
4-1 |
모바일 운영체제, 앱개발 프로그래밍언어의 구조 및 원리 |
26 |
데이터베이스설계 |
3 |
전공심화 |
4-1 |
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이론 및 특성,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의 설계, 분석 및 구현 |
27 |
LOD 구축1 |
3 |
전공심화 |
4-1 |
LOD 구현요소 및 소요기술 |
28 |
분석데이터탐색 |
3 |
전공심화 |
4-1 |
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데이터의 원리와 구조 개념 |
29 |
SW 종합설계 프로젝트 |
3 |
전공심화 |
4-2 |
소프트웨어공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 |
30 |
소프트웨어공학 |
3 |
전공심화 |
4-2 |
체계적인 소프트웨어개발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SW공학과정들을 학습 |
31 |
LOD 구축2 |
3 |
전공심화 |
4-2 |
LOD 구현요소 및 소요기술 |
졸업요건
- 학위명 : 정보공학사 / 전공표기 : 지식생태전공
- 주관(참여)학과 : 문헌정보학과(컴퓨터공학과)
- 복수전공 졸업이수 학점 : 39학점 이상
- 부전공 졸업이수 학점 : 24학점 이상
- 기타 졸업요건 : 학과 내규에 따름(학과사무실 문의)
졸업 후 진로
- Open Data의 대표적 창구라 할 수 있는 도서관 및 정보관리 현장 진출
- 디지털콘텐츠, 정보시스템, 멀티캐스트, 모바일서비스 관련 기관 등 진출
주관학과
- 문헌정보학과(Tel : 042-821-6351)